전기 없는 챌린지 셋째 날 – 식생활과 요리의 변화
전기 없는 아침, 냉장고 없이 맞이하는 진짜 시작셋째 날 아침은 그동안의 ‘적응기’를 지나 본격적인 생활 전환기로 들어서는 순간입니다. 첫날과 둘째 날은 여전히 냉장고 안의 남은 냉기나 사전에 냉동·냉장해 둔 재료를 활용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냉장 기능이 완전히 무용지물이 된 상태입니다. 쉽게 변질되는 육류, 유제품, 생선류는 이미 소비했거나 위생상 버렸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제부터는 상온 보관이 가능한 재료가 주인공입니다. 곡물, 건조 채소, 말린 과일, 통조림, 뿌리채소, 견과류, 그리고 소금 절임 식품들이 식단의 핵심을 차지합니다. 아침 식사는 전날 밤 미리 불려둔 귀리나 보리를 주전자에 넣어 푹 끓여 죽으로 만들고, 여기에 말린 대추나 건포도를 넣어 은근한 단맛을 더합니다. 견과류는 씹는 만족..
전기 없는 일주일 챌린지, 시작 전 준비물 점검하기
전기 없는 챌린지, 준비 없이는 시작할 수 없습니다전기 없는 일주일 챌린지를 시작하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충분한 준비입니다. 평소에는 당연하게 쓰던 전기 제품이 단 한 번에 모두 멈춘다고 생각해 보십시오. 조명, 냉장고, 전자레인지, 휴대폰 충전기, 보일러까지 모두 쓸 수 없게 된다면,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패턴이 바뀝니다. 이런 환경을 갑작스럽게 맞이하면 불편함을 넘어서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챌린지를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물품을 미리 갖추고, 그 물품들을 어떻게 활용할지까지 계획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전기 없는 챌린지의 목표는 단순히 전기 없이 견디는 것이 아니라, 불편함 속에서도 안전하고 건강하게 생활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생활 필수품, 조리도구, 조명, 대체 에너지, 위..
전기 없는 재난 대비 훈련, 가족과 함께 준비하는 3단계 매뉴얼
전기 없는 상황이 올 수 있다는 사실을 먼저 받아들이기현대 사회는 전기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습니다. 스마트폰 충전, 냉장고, 난방기, 수도 펌프까지 대부분의 생활 인프라는 전기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태풍, 지진, 폭설, 대규모 화재, 전력 공급 장애와 같은 돌발 재난은 언제든 전기 없는 상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실제로 도시 전체가 몇 시간에서 며칠간 정전되는 사례는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큰 문제는, 우리가 전기 없이 살아가는 법을 잘 모른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사전 훈련이 필수입니다. 전기 없는 재난 대비 훈련의 첫 단계는 위기 시나리오를 상상하고 대응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가족이 각자 어디에 있을지, 연락이 끊겼을 때 어떻게 모일지, 어떤 물품이 필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