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의 실생활 도구와 기술로 만든 목재 가구 제작
전기 없이 만드는 가구, 시작은 나무를 다시 보는 일전기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의 실생활 도구와 기술로 만든 목재 가구 제작은 단순한 수공예의 차원을 넘어서 삶의 태도와 밀접하게 연결된다. 현대의 대부분 가구 제작은 전기톱, 샌더기, 자동 드릴과 같은 전동 공구에 의존하며, 대량생산과 효율을 기준으로 설계된다. 하지만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나무 가구를 만드는 과정은 완전히 다른 관점에서 출발한다. 첫 단계는 나무를 바라보는 시선이다. 전기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은 나무를 단순한 재료가 아닌, 살아 있는 자연의 일부로 인식하며, 그 나무가 지닌 결, 무늬, 옹이, 휘어짐까지 존중하는 방식으로 접근한다. 이들은 주로 중고 목재나 현장에서 벌목된 잔가지, 오래된 구조물을 해체한 폐자재 등을 수집해 가구의 재료로 ..
전기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의 실생활 도구와 기술, 무전력 주방의 모든 것
무전력 주방, 전기가 사라지면 무엇이 남는가전기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의 실생활 도구와 기술, 무전력 주방의 모든 것은 단순히 전기 없이도 밥을 먹을 수 있다는 개념을 넘어서 삶의 리듬 자체를 바꾸는 경험이다. 냉장고, 인덕션, 전자레인지, 전기포트, 커피머신, 믹서기 없이도 주방이 가능할까 하는 의문에서 출발한 이 실험은, 오히려 삶의 속도를 조절하고 손의 감각을 되살리는 기회가 된다. 한 제주 오름 인근의 전기 없는 주택에서는 매일 아침 해가 뜨면 장작을 쪼개고, 불을 붙여 물을 데우는 것으로 하루가 시작된다. 그 집에는 오직 화덕, 주물 냄비, 대나무 찜기, 로켓 스토브, 흙벽 안에 묻은 항아리 형태의 저장고만 존재한다. 밥은 가마솥에, 반찬은 나무도마에서 직접 다지고, 손절구로 마늘을 빻아 넣는다...
전기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의 실생활 도구와 기술로 만든 자급자족 시스템
자급자족을 실현하는 삶, 전기 없이 가능한가?자급자족이라는 개념은 오래전부터 인간의 이상적인 생활 방식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현대 문명에서는 자급자족이 비현실적인 이상향으로 여겨지기 쉽다. 도시 인프라에 의존하는 삶, 전기와 인터넷 없이는 하루도 유지하기 어려운 구조 속에서 자급자족은 낯선 개념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전기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의 실생활 도구와 기술을 기반으로 자급자족 시스템을 완성한 이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산속이나 외곽 농촌, 또는 전력망이 닿지 않는 오지에서 생활하며, 전기 없이도 물, 음식, 조명, 난방, 위생, 심지어는 통신까지 스스로 해결하고 있다. 자급자족은 단순히 직접 농사를 짓거나 비닐하우스를 운영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에너지, 식량, 기술..